- 자바에서는 한 배열에 같은 타입의 값만 저장할 수 있다
- JS에서는 한 배열에 여러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
- 자바에서는 배열은 기능이 없지만, JS에서 배열은 여러가지 메소드들을 제공해준다
//중괄호를 이용해서 만드는게 객체
var tmp = {grade:1}; // 객체
var arr1 = ['html', 1, true]; // 배열
var arr2 = new Array('html', 1, true); //배열
document.write(arr1[0]+'<br>');
- slice() : 전체를 복사 => 복사본을 가져오는 것
- ?는 0개또는 하나 ex: slice(?,3) 시작이 있을수도있고 없을수도있고
- slice(index) : index번지 이후(slice(1)=>2번지부터)의 모든 배열값을 변환, 부분 배열을 복사하여 반환
- slide(start, end) : start 번지부터 end이전까지의 배열을 반환
console.log(arr1);
var arr3 = arr1.slice(1);
console.log(arr3);
arr3[0]=2;
console.log(arr1);
*arr3[0]=2;를하게되면서 arr3[0]에있던 값 1은 덮어씌여져서 없어지게됨.
원본을 가져오는 것 => 본래의 값이 바뀔 염려가 있음
- splice() : start번지부터 끝까지 삭제 후, 삭제된 요소들을 변환
- splice(start, count) : start번지부터 count개만큼 삭제 후, 삭제된 요소를반환
arr3= arr1.splice(1);
console.log(arr3);
console.log(arr1);
arr3=arr1.splice(1);를하게되면서, 0번지에있던 2값이 다시 arr1의 2번지값인 1로 덮어씌워짐
+ arr1은 splice로 인해서 1번지부터 값이 없어졌음(=0번지만 남아있는상태)
- concat(배열) : 두 배열을 연결한 배열을 반환
arr1=arr1.concat(arr3);
console.log(arr1);
arr1의배열값은('html'), arr3의 배열은(1,true) 이기때문에 => arr1이 다시 ('html',1,true)
- push(값) : 값을 배열 마지막에 추가
- unshift(값) : 값을 맨 앞에 추가
- pop() : 맨 마지막 값을 삭제 후,반환
- shift() : 맨 앞의 값을 삭제 후 반환
arr1.push('css');
arr1.unshift('js');
console.log(arr1);
console.log(arr1.pop());
console.log(arr1);
console.log(arr1.shift());
console.log(arr1);
- reverse() : 배열을 역순으로 정렬
arr1.reverse();
console.log(arr1);
arr1 = [2,5,7,2,4,10];
arr1.sort(function (a,b){
return a-b;
})
console.log(arr1);
- stop이 입력되기 전까지 입력창을 통해 값을 입력받아 입력받은 값들을 배열에 저장하고,
저장된 배열값을 콘솔에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세요.
var arr = [];
while(true){
var tmp = prompt('입력');
if(tmp == 'stop'){
break;
}
arr.push(tmp);
}
//document.write(arr); //화면출력
console.log(arr); //콘솔출력
'괴발개발 > Javascript+JQue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S_객체 (0) | 2021.06.18 |
---|---|
JS_클래스 (0) | 2021.06.18 |
JS_재귀함수 (0) | 2021.06.18 |
JS_내장함수 (0) | 2021.06.18 |
JS_함수의 개념과 예제 (0) | 2021.06.18 |